전력기관 7곳, 5년간 ‘사이버공격시도’ 1,000건 달해
전력기관 7곳, 5년간 ‘사이버공격시도’ 1,000건 달해
  • 박재구 기자
  • 승인 2019.09.26 22: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수원·한전·전력거래소 3곳에 전체공격시도 94% 집중
이훈 의원, “계속적인 보안 경각심 유지할 필요가 있어”

전력공급을 책임지는 한전 등 전력기관에 대한 사이버공격시도가 끊이지 않고 있어 사이버보안망 강화 및 유지를 위한 계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훈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한전과 한전자회사 등 7개 기관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의하면 지난 2015년부터 2019년 8월까지 사이버공격시도가 총 979건이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자료는 단순한 공격의심 신호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실제 공격시도가 있었던 경우를 대상으로 한다. 이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5년에 286건 ▲2016년 290건 ▲2017년 204건 ▲2018년에 135건에 이어 올해 8월까지는 64건으로 해마다 끊임없이 시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동안 기관별로 살펴보면 한수원이 489건으로 전체의 약 50%를 차지해 가장 많은 공격대상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뒤이어 한전이 267건, 전력거래소가 172건으로 드러났다. 이들 3개 기관을 합치면 전체공격 시도의 94%를 차지해 전력생산과 공급을 담당하는 기관에 공격이 집중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이버공격시도의 유형으로는 홈페이지 해킹공격이 475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악성코드를 통해 시스템에 침투하려는 공격이 333건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일명 D-DoS로 불리는 서비스접속거부 공격도 70건이나 시도됐던 것으로 밝혀져 공격의 유형이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각 기관들은 기관 스스로 사이버공격에 대응키 위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보안설비에 대한 업데이트와 산업부-국정원 간의 사이버안전협의체를 구성해 지속적으로 정보공유 및 대응을 하고 있으며, 이메일을 통해 침투시도를 한 악성코드는 그 형태를 분석해 유사한 메일의 제목과 첨부파일은 차단토록 관리하는 등의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이들 기관에 따르면 사이버공간에서의 공격의심 신호는 하루에도 수백 건씩 감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일 한 차례의 공격이라도 성공해 해킹을 통한 정보탈취나 서비스장애 등을 일으킬 경우 이는 막대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어 늘 위협적인 위험이 시달리는 실정이다.

이훈 의원은 “전기는 국민의 인간다운 생활을 위한 필수재화로 한전과 같이 전력을 공급하는 기관들에만 1,000건에 가까운 사이버공격 시도가 있었다는 것은 매우 심각한 일”이라며 “사이버공격으로 인해 전력공급 체계가 영향을 받거나 서비스 운영에 마비사태가 발생되지 않도록 각 기관마다 계속적인 보안 경각심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2015년~2019년 08월까지 전력기관에 대한 사이버공격시도 현황

기관명

2015

2016

2017

2018

2019.08

소계

한국수력원자력

151

145

104

62

27

489

한국전력공사

81

106

46

29

5

267

한국전력거래소

40

32

48

37

15

172

한국원자력환경공단

14

6

3

6

2

31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0

0

0

0

15

15

한전원자력연료

0

1

3

0

0

4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0

0

0

1

0

1

소계

286

290

204

135

64

979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360번길 21, 신영팰리스타워 10층 R1013호
  • 대표전화 : 031-707-2013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재구
  • 법인명 : 발전산업신문
  • 제호 : 발전산업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2416
  • 등록일 : 2013-01-10
  • 발행일 : 2013-01-10
  • 발행인 : 박재구
  • 편집인 : 박재구
  • 충청지사 : 충청남도 보령시 중앙로 180 동부APT상가 208호
  • 발전산업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발전산업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gnkorea@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