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이하 산업부)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은 3월 7일 석탄회관 중회의실에서 화상회의를 통해 아흐멧 호자예프(Azim Israilovich Akhmedkhajaev) 우즈베키스탄 에너지부 차관과 ‘제1차 한-우즈벡 에너지대화’를 개최해 양국의 에너지정책을 공유하고, 신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등 협력 확대방안을 논의했다.
우즈벡은 천연가스. 금, 우라늄, 텅스텐 등 풍부한 자원을 보유한 중앙아시아의 대표적인 자원부국으로 우리나라와 전통자원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신산업 분야의 협력 잠재력이 높은 국가이며, 이번 ‘한-우즈벡 에너지대화’는 2021년 12월 양국 정부 간 체결한 ‘에너지 대화채널 구축 MOU’에 따라 처음 개최되는 공식 회의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번 회의에서 양국은 최근 러-우크라 사태 등 에너지 공급망 불확실성 확대 및 지속되는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키 위한 양국의 에너지정책을 공유했으며, 우즈벡의 풍부한 자원과 한국의 높은 기술력을 토대로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등 에너지신산업 협력을 강화해 나기로 했다.
우선 양국은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우즈벡 정부는 “향후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및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발전 비중을 확대할 계획으로 풍부한 경험과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한국기업들의 사업 참여를 통해 우즈벡의 재생에너지 보급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천영길 산업부 실장은 우즈벡 정부가 작년 12월 수입 가전제품 에너지효율 강화 규제를 발표한 이후 양국 정부 간 협의를 거쳐 수입·내수 제품 간 차별 완화를 위해 규제 개정절차에 착수한 것과 관련해 우즈벡 정부가 동 규제의 개정절차에 착수하고, 규제 개정 이전 우리 기업의 수출제품 통관을 재개키로 한 결정에 사의를 표하고, “앞으로 양국 간 공식 채널을 통해 에너지 규제에 대해 지속 논의키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한 천영길 실장은 우즈벡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대표적인 애로사항(수르길 사업 가스대금 미수금, 텅스텐 광산개발 인프라 지원)을 전달하고, 이 사안들이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우즈벡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아울러 천영길 실장은 신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등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다양한 협력의제에 대한 우즈벡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하면서 “앞으로 양국이 한-우즈벡 에너지대화를 정례적으로 개최해 에너지안보 강화 및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는 한편, 양국 간 신뢰를 구축하고 상호호혜적인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