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가스발전기 가동률 추락…경영에 빨간불 켜져
민간가스발전기 가동률 추락…경영에 빨간불 켜져
  • 김진철 기자
  • 승인 2014.07.15 15: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후 발전기 기준 올 상반기 이미 영업이익 마이너스 기록
석탄발전과 원전 등 대거 투입될 경우 상황은 급격히 악화

[기사제휴=에너지타임즈] 지난해 과다수익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았던 민간가스발전기가 올해를 기점으로 노후 된 발전기를 중심으로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해를 거듭할수록 적자의 폭이 더 커질 것으로 민간가스발전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민간발전업계에 따르면 GS EPS가 부곡복합화력 2호기를 운영한 결과 올 상반기 매출액은 1806억 원,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17억 원(-1.0%)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올 하반기 매출액은 1237억 원,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15억 원(-1.2%)으로 더 악화될 것으로 추정됐다.

포스코에너지 인천복합화력 5·6호기의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매출액은 5695억 원, 영업이익은 133억 원(2.3%). 지난 6월부터 오는 12월까지 매출액은 7342억 원,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133억 원(-1.8%)으로 전망됐다.

특히 최근 준공된 민간가스발전기 경영상황도 녹록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SK E&S의 오성복합화력의 지난 1월부터 5월까지의 매출은 3514억 원, 영업이익은 115억 원(3.3%). 지난 6월부터 오는 12월까지 매출액은 4551억 원, 영업이익은 77억 원(1.7%)으로 크게 수익을 거두지 못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들 발전기를 포함한 민간가스발전기의 수익이 악화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발전기의 가동률이 떨어지는 것과 계통한계가격(SMP)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급전순위는 발전단가에 따라 결정되는데 발전단가가 낮으면 가동률은 높아지지만 반대로 발전단가가 높으면 가동률이 떨어지게 된다. 최근 들어 발전단가가 낮은 영흥화력 5호기 등 기저부하인 석탄발전이 투입되면서 그만큼 민간가스발전기의 급전순위는 밀려나고 있다.

또 조만간 준공될 태안·당진·보령화력 등의 신규 석탄발전이 투입될 경우 이들의 급전순위는 현저히 떨어질 것으로 관측됐다. 게다가 기저부하인 고리원전 3·4호기 등 현재 건설 중인 원전이 준공될 경우 상황은 더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정산가격의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계통한계가격이 낮아지는 것도 민간가스발전기의 경제성을 하락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실제로 계통한계가격은 가장 높은 발전단가의 발전기를 기준으로 정해지기 때문인데 예비전력이 많으면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계통한계가격은 낮아지는 셈이다.

이와 관련 전력거래소에서 가스발전설비에 대한 2020년까지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시뮬레이션을 가동한 결과 51.3%의 효율을 가진 가스발전기 기준 2012년 14.7%, 2013년 7.4%, 2014년 2.5%로 수익이 나겠으나 대형발전설비가 대거 가동되는 2015년부터 수익성은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또 2015년 -4.5%, 2016년 -6.9%, 2017년 -9.3%, 2018년 -9.5%, 2019년 -9.0%, 2020년 -9.9% 등으로 나타났다.

효율이 49.8%인 가스발전기는 더 심각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2년 14.4%, 2013년 7.5%, 2014년 0.3%인 반면 2015년 -50.7%, 2016년 -54.5%, 2017년 -84.7%, 2018년 -85.5%, 2019년 -83.5%, 2020년 -73.9%로 고효율 가스발전기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다.

그 동안 우려했던 일이 현실로 부각되자 민간발전업계는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민간발전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 민간발전회사가 과다수익이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면서 “일시적인 현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민간발전회사의 수익을 보장받을 수 없도록 하는 조치가 진행 중”이라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 이들은 계통한계가격 중 무부하비용을 제외하고 제약비발전 정산금 축소 등 전력시장제도 개정 추진으로 인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고 무부하비용 제외에 따른 전력시장가격하락은 kWh당 7원으로 추정되는 등 연간 300억 원가량의 손실을 예상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2001년 이후 동일한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 용량가격(CP)의 현실화를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360번길 21, 신영팰리스타워 10층 R1013호
  • 대표전화 : 031-707-2013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재구
  • 법인명 : 발전산업신문
  • 제호 : 발전산업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2416
  • 등록일 : 2013-01-10
  • 발행일 : 2013-01-10
  • 발행인 : 박재구
  • 편집인 : 박재구
  • 충청지사 : 충청남도 보령시 중앙로 180 동부APT상가 208호
  • 발전산업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발전산업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gnkorea@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