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에너지 R&D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재편

4일 ‘미션 이노베이션 위원회’ 출범, 로드맵 수립 추진
2021년까지 핵심 청정에너지기술 공공투자 2배 확대

2016-02-04     박재구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이하 산업부)와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이하 미래부) 등 에너지 R&D 관계부처는 4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미션 이노베이션(Mission Innovation) 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향후 5년 내 청정에너지 연구개발 공공투자를 2배로 확대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에 따라 현재 1.5조원 수준인 정부 에너지 연구개발 투자를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재편해 신기후체제 하의 온실가스 감축요구에 대응하고, 에너지신산업의 조기 확산을 뒷받침할 방침이다.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김도연 現 포항공대 총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위원회는 앞으로 약 4개월에 걸쳐 관계부처, 출연(연), 에너지 공기업, 산학연 전문가 등 100여 명 이상이 참여해 혁신미션 선언의 구체적 이행방안(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산업부(도경환 산업기반실장)와 미래부(박재문 연구개발정책실장) 공동주관으로 관계부처(기재부, 미래부, 산업부, 국토부, 환경부, 해수부) 국장급으로 구성된 관계부처 협의회를 운영해 연차별 재정전략 등에 대한 사전 조율작업을 통해 위원회 활동을 측면 지원할 예정이다.

위원회는 앞으로 정부가 중점 투자해 나갈 핵심유망 청정에너지 기술을 선별하고 주요 프로젝트 발굴 및 관련 분야의 연차별 투자확대 규모 산정 등의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며, 분야별 기술수준, 연구역량, 시장 성숙도 등에 따라 관련 역할을 정부 및 출연연, 공기업, 민간(산학연)으로 분담하는 등 청정에너지 R&D의 민관 역할도 재정립하게 된다. 또한 에너지신산업 활성화를 위해 청정에너지 기술/사업모델에 관한 해외사례를 벤치마킹해 2030년 이내 조기 상업화가 가능한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는 작업도 병행할 예정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 EU 등 주요 기술 선진국에 비해 누적 투자규모에서 뒤쳐져 있어 시험?인증?실증 등의 측면에서 축적된 연구 인프라의 격차가 존재하는 상황으로, 에너지 분야는 기술개발 후에도 상업화를 위해 실증(Field-Test)을 통한 운영실적(Track-Record) 확보가 필수적인 만큼 관련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분석 후 보완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향후 위원회를 통해 도출되는 중장기 로드맵은 국가과학기술심의회(위원장 국무총리 및 이장무 교수) 심의 등을 거쳐 오는 6월 1일과 2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되는 ‘제7차 클린에너지 장관회의’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이날 위원회 발족식에서 도경환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파리총회 이후 신기후체제에서 청정에너지 기력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사안인 만큼 전문가 위원들의 적극적인 활동이 필요하다”며 “청정에너지 기술 경쟁력 확보를 통해 신기후체제 이행에 대한 글로벌 리더십을 유지하고,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든든하게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박재문 미래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한국의 경제·산업 현실을 고려할 때 혁신적인 기후기술이 답이 될 수 있다”며 “과학기술과 ICT를 활용해 온실가스 저감과 재활용을 위한 새로운 수단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