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계 원자력 시설에서 사용할 로봇기술의 국제표준을 논의하는 회의가 국내에서 열렸다. 이를 통해 원자력 로봇기술 선도국들과 협조해 우리 로봇기술이 국제표준이 될 수 있도록 논의를 주도한다는 구상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은 국제표준기구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와 3월 6일부터 10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원자력·방사선 응용 이동 무인 자동화시스템(Mobile unmanned automated systems for nuclear and radiological applications)’ 국제표준 개발을 위한 국제회의를 개최했다.
IEC는 산하 원자력계측기술위원회(TC45, Technical Committee 45)를 중심으로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과 함께 원자력발전소의 계측, 제어, 기기, 로봇 등에 대한 국제표준을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많은 국가들이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자국 기술의 국제 표준화에 힘쓰고 있다.
원자력연구원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원자력 방재 로봇’ 기술의 국제 표준화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 2018년 원자력연구원이 IEC에 ‘원자력·방사선 응용 이동 무인 자동화시스템 국제표준 개발 워킹그룹’을 출범시킨 이후 현재까지 그룹 리더로 활동하고 있으며, 고방사선 등 극한 환경에서 작업해야 하는 원자력 로봇의 안전 및 성능 기준 등의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이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정부 대표기관의 역할을 하는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의 지원을 받아 노력해온 결과다.
최근 원자력연구원이 제안한 원자력 시설 안전 순찰을 위한 이동 원격제어시스템 관련 표준 안건이 IEC 원자력계측기술위원회에서 정식 채택돼 이를 협의키 위한 자리가 이번 국제회의다.
이번 회의에는 IEC 원자력계측기술위원회 산하 원자력 로봇 개발 워킹그룹의 국제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을 점검하는 순찰 로봇기술의 국제표준(안)을 검토하고, 각 나라의 의견을 교류했으며, 원자력연구원은 우리나라 원자력 시설 순찰 로봇기술의 국제표준 채택을 목표로 하고 있다.
류동석 원자력연구원 로봇응용연구실장은 “국내 원자력 로봇기술의 국제 표준화는 향후 국내 원자력산업 수출 경쟁력 강화에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이미 검증된 원자력연구원의 원자력 방재 로봇 개발 경험 등을 바탕으로 관련 분야의 국제표준 제정을 선도해 우리나라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